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자기기 기능사 취업에 쓸모 있을까? 취업분야, 시험대비, 합격률, 취득과정 등

by 여름밤은가고 2023. 2. 19.

자격증

나이와 경력에 상관없이 취득할 수 있는 전자기기 기능사 자격증은 전자기기를 제조, 조립, 분해, 수리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자격증입니다. 전자기기는 아무래도 일상에서 없어선 안될 필수품 이기 때문에 전자기기 기능사를 취득하면 취업에 쓸모가 굉장히 많습니다. 

 

 

 

취업이 잘 되는 분야

취득자들이 많이 진출하는 분야는 주로 전자기기 부품 제조업체, 수리센터, 고객센터, 서비스센터, 생산업체, 제조업체, 조선업체, 건설업체 등 전자기기를 다루는 다양한 산업분야입니다.

 

전자기기 기능사 자격증은 취업이 잘되는 자격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관련 분야를 전공한 전문계 고등학생과 제2의 인생을 준비하는 중장년층에게 인기가 많은 자격증입니다.

 

 

 

취득과정

필기와 실기가 있습니다. 모두 합격해야 자격증이 발급되며 필기시험은 응시자격이 따로 없어 누구나 응시할 수 있습니다. 필기시험에 합격하면 2년 동안 필기시험 면제가 되어 실기시험만 준비하면 됩니다. 또한 관련 분야를 전공한 전문계 고3도 실기만 치르면 됩니다.

 

필기 시험대비 & 과목 & 난이도

필기시험은 14500원의 응시수수료가 있고 문제수 60문항을 60분 안에 풀어야 합니다. 객관식으로 나오며 60점만 넘으면 합격입니다. 시험과목은 전기전자공학, 전자계산기일반, 전자측정, 전자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이렇게 4과목입니다.

 

난이도는 학원에 다닐 필요 없이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를 해도 합격할 수 있을 정도로 낮은 난이도로 문제은행식으로 출제가 되기 때문에 기존 문제에서 약간만 변형되거나 그대로 출제가 됩니다.

 

3주 정도 공부해서 합격한 사례를 봤기 때문에 그리 난도가 높은 시험은 아닌 것 같지만 시간을 넉넉하게 잡고 두세 달 정도 공부를 하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실기 시험대비 & 과목 & 난이도

실기시험은 30400원의 응시료가 있고 4시간에 거쳐 치러집니다. 과목은 전자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작업 1과목만 치르며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득점해야 합격입니다.

 

실기시험은 회로도를 많이 보고 그려보거나 납땜을 많이 해보았다면 합격할 수 있는 정도라는 평입니다. 경력이 거의 없는 분들은 독학이 어렵기 때문에 기술학원이나 기능학원에서 실기를 배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시험일정

정기시험으로 치러지며 필기시험은 1월, 3월, 6월, 8월 이렇게 한 해에 4번이 있습니다. 3주 전쯤 원서를 접수하니 날짜를 미리 알아보시고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필기시험일정

 

실기시험 일정은 3월 5월 6월 8월 11월이며 한 달 잔쯤 원서 접수가 있으니 공식 홈페이지에서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실기시험일정

 

합격률

필기합격률은 난이도가 쉬운데 비해 낮은 편이고 실기합격률은 높은 편입니다. 수치는 필기합격률 20~30%, 실기합격률 80~90%입니다.

댓글